상태 허리 2023년 2월 3일

요추 방사통 증후군 | 물리 치료사를 위한 진단 및 치료

요추 방사 증후군

요추 방사통 증후군 | 진단 및 치료

소개 및 역학

요추 방사 증후군
요추 방사통 증후군은 요추와 천골의 방사통 및/또는 방사근 병증의 징후를 포괄하는 용어입니다. "방사통"과 "근병증"은 문헌에서 동의어로 사용되지만, 두 용어는 동일하지 않습니다. 방사통은 "등근 또는 그 신경절에서 발생하는 이소성 분비물에 의해 유발되는 통증"으로 정의됩니다. 가장 흔한 원인인 디스크 탈출증(수핵 탈출증, HNP)과 영향을 받는 신경의 염증이 중요한 병리 생리학적 과정인 것으로 보입니다. 근병증은 또 다른 뚜렷한 실체입니다. 척추 신경이나 그 뿌리를 따라 전도가 차단되는 신경학적 상태입니다(보덕 외 2009). 이로 인해 감각 상실(감각 저하 또는 마취), 운동 상실(마비 또는 위축), 반사 장애(저반사) 등 신경 기능 상실의 객관적인 징후가 나타납니다. 디스크 탈출증은 요천추 방사통의 가장 흔한 원인(90%)이므로(90%, Koes et al. 2007)에 대한 사실과 허구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허리 디스크의 유병률은 L4-L5 및 L5-S1 레벨에서 전체 사례의 45%로 가장 높습니다. 이는 이 두 레벨에서 정적 힘과 운동력이 가장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L3-L4 레벨의 탈장은 유병률(5%)이 낮고, L2-L3 및 L1-L2 레벨의 탈장은 더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있습니다(Schaafstra et al. 2015). L4-L5 사이의 추간판 탈출증의 경우 L5의 신경근이 압박되고, L5-S1의 경우 S1의 신경근이 영향을 받습니다. 이는 대부분의 추간판 탈출증이 내측 탈출증으로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Epstein et al. (2002) 는 측면 디스크 탈출증에 대해 자세히 연구했습니다. 저자에 따르면 극외측 디스크 탈출증은 전체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7~12%를 차지하며 일반적으로 디스크가 발생한 공간으로 외측으로 이동한 자유 조각을 수반합니다. 극외측 추간판 탈출증은 같은 층에서 나오는 신경근을 압박하며, 이는 아래 층에서 나오는 신경근에 영향을 미치는 전형적인 내측 추간판 압박과 대조적입니다(위 그림 참조). 가장 흔한 외측 추간판 탈출증은 L3-L4 또는 L4-L5 수준에서 발생하고 그 다음이 L5-S1 수준입니다.
극외측 추간판 탈출증 환자는 일반적으로 50~78세 사이의 50대 중반이며, 외측 구획의 등쪽 신경근 신경절의 손상으로 인해 극심한 방사통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리 통증은 대개 지속되는 반면 허리 통증은 미미한 경우가 많습니다.

경추와 마찬가지로 신경근도 비대해진 면관절, 디스크 돌출, 척추체의 척추 돌출 또는 이러한 요인들의 조합에 의해 신경근이 끼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외측 협착증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며, 다음 단원에서는 이 중에서도 특히 외측 협착증에 대해 다룰 것입니다. 방사통의 가능성이 낮은 다른 원인으로는 종양, 활액낭종, 감염, 혈관 이상 또는 척추 협착증 등이 있으며, 다음 단원에서 다룰 예정입니다. 심사에 관한 부분에서 이러한 위험 신호를 인식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배우고 있는 내용이 마음에 드시나요?

코스 따라가기

  •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속도로 학습하기
  • 수상 경력에 빛나는 팀이 제공하는 대화형 온라인 강좌
  • 네덜란드, 벨기에, 미국 및 영국의 CEU/CPD 인증

임상 프레젠테이션 및 검사

징후 및 증상

다른 병리와 마찬가지로, 요천추 방사상 증후군의 가능성을 고려할 때 철저한 환자 병력은 이미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Vroomen et al. (2002) 은 요천추 방사통 증후군 진단의 정확성과 관련하여 환자 병력 중 여러 항목을 평가했습니다. 추간판 탈출증으로 인한 요천추 방사통 증후군을 진단할 수 있는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징후 및 증상 요추 방사상 증후군

시험

환자 병력 청취 후 환자가 요천추 방사형 증후군을 앓고 있다는 국제질병분류(ICD) 가설을 세웠을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가설을 배제하거나 확인하기 위해 실제 테스트를 수행하여 임상적 불확실성을 더욱 줄일 수 있습니다. 첫 번째 테스트 배터리는 방사통 및/또는 감각 이상 증상을 재현하거나 완화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신경근 L2-L4가 영향을 받았다고 의심되는 경우, 더 높은 요추 신경근에 스트레스를 주기 위해 엎드린 무릎 굽힘 테스트를 수행해야 합니다:

요천추 방사상 증후군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검사는 교차 SLR입니다:

요추 방사 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한 다른 정형외과 검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검사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저반사, 감각 저하 및 마비를 평가하는 신경병증의 유무와 정도에 초점을 맞춘 신경학적 검사를 수행해야 합니다:

더마톰 검사에 관한 다음 동영상은 미국 척추 손상 협회(ASIA) 양식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Lee et al. (2008)은 문헌을 평가하고 실험적으로 가장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5편의 논문에서 발표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합 피부 지도를 만들었습니다. 지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Lee 등 피부과 지도

더마톰 지도의 신뢰성에 대해 많은 논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더 자세히 알아보려면 블로그 글과 연구 리뷰를 확인하세요:

다음 동영상에서 설명하는 대로 하지 근섬유를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신경근이 눌리는 데에는 허리 디스크 외에 다른 근본적인 원인이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세요. 또한 근위 다리로 방사되는 통증은 방사통이 아닌 참조 통증일 수도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동영상을 참조하세요:

모든 물리치료사가 숙지해야 할 5가지 필수 동원/조작 기술

무료 수동 치료 과정
배우고 있는 내용이 마음에 드시나요?

코스 따라가기

  •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속도로 학습하기
  • 수상 경력에 빛나는 팀이 제공하는 대화형 온라인 강좌
  • 네덜란드, 벨기에, 미국 및 영국의 CEU/CPD 인증

치료

항상 그렇듯이 치료는 환자의 병력 청취 및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치료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수정 가능한 부정적인 예후 요인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목표입니다. 우리가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높은 수준의 통증, 장애, 운동 범위, 관절 이동성 감소입니다. 조언과 교육을 통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도 있고 치료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도 있는 요인으로는 운동 관련 공포, 재앙적 사고, 소극적 대처 등이 있습니다.
예후 인자 목록을 살펴보면 우리가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영향을 미칠 수 없는 인자가 꽤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환자가 우세한 심리사회적 요인 또는 업무 관련 요인을 보이는 경우, Zwart et al. (2021)에서는 심리학자나 작업 재활 전문 물리치료사 등 다른 의료 전문가에게 문의할 것을 권장합니다.

효과적인 치료법에 대한 증거는 무엇일까요?
놀랍게 들릴 수도 있지만 요천추 근 증후군의 보존적 치료 옵션의 효과에 대한 증거는 극히 부족합니다. 루이스터버그 외 (2008) 에 따르면 물리치료는 3, 6, 12, 52주 시점에서 통증과 장애 측면에서 일반의의 일반적인 치료보다 더 효과적이지 않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그러나 초기 상담 시 심각한 장애를 보고한 환자들에게 물리치료가 특히 효과적이었다는 징후가 있었습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체계적인 검토를 통해 페르난데스 외 (2015) 발견했습니다. 운동 는 단기간에 다리 통증에 작고 우수한 효과를 제공합니다. 좌골 신경통.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작은 효과는 사라졌습니다. Albert et al. (2012)에서는 증상에 따른 운동, 정보 및 활동 유지를 위한 조언과 가짜 운동, 활동 유지를 위한 정보 및 조언을 비교했습니다. 연구팀은 4.8회 치료 후 중재 그룹이 가짜 그룹에 비해 전반적인 평가, 기능 상태, 통증, 직업 상태 및 임상 소견 측면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하게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Paatelma et al. (2008)에서는 정형외과 도수 치료와 맥켄지, 요통 환자의 활동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언을 비교했습니다. 3개월 후에는 세 그룹 모두 똑같이 개선되었지만, 6개월과 1년 후에는 맥켄지 그룹이 '활동 유지' 그룹보다 허리, 다리 통증 및 장애 측면에서 훨씬 더 나은 결과를 보였습니다. 도수 치료와 맥켄지 방법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습니다.

Ye et al. (2015)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를 대상으로 요추 안정화 운동과 일반 운동을 비교했습니다. 두 그룹 모두 치료 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 3개월과 12개월에 통증과 장애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안정화 그룹은 일반 운동 그룹에 비해 운동 후 12개월 시점에서 요통 및 장애의 평균 통증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안타깝게도 저자들은 제3의 대조 그룹을 통해 효과를 비교하여 활동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조언하지는 않았습니다.

Neto et al. (2017)은 건강한 요통 환자군에서 하체 사분면 신경 동원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및 메타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연구팀은 요통 환자의 유연성 증가에 대한 신경 동원 효과는 중간 정도, 통증 및 장애 감소에 대한 효과 크기는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체계적인 검토 및 메타분석을 통해 Basson et al. (2017)은 신경병증적 요소가 있는 근골격계 질환에서 신경 동원의 효과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연구팀은 만성 요통 환자의 통증이 증가하고 장애가 감소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요천골 방사 증후군 환자는 종종 굴곡으로 인한 증상의 유발을 보고합니다. 따라서 SLR 슬라이더를 사용한 신경역학 기법으로 시작한 다음 SLR 텐셔너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환자의 다리 통증이 감소하거나 거의 없어지고 굴곡을 견딜 수 있게 되면 슬라이더로 시작하여 텐셔너 기법으로 다시 슬럼프 기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급성기가 지나면 환자는 종종 지속적인 허리 통증을 경험하지만 더 이상 다리 통증은 없습니다. 이는 종종 학습된 보호 행동(예: 허리 근육의 굴곡 및 공동 수축을 피하는 것)의 결과이며, 처음에는 도움이 되었지만 장기적으로는 해로울 수 있습니다. 광범위한 재확인 및 설명과 함께 다음 연습은 환자의 두려움 회피 행동에 도전하고 자신감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외과적 치료
따라서 허리 디스크와 좌골 신경통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수술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네덜란드에서는 요천추 방사통 증후군 환자의 약 5-15%가 수술을 받습니다. 하지만 수술은 얼마나 효과적일까요? 체계적인 검토 Jacobs et al. (2011)에 따르면 보존적 치료와 수술은 1년과 2년 후에도 똑같이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수술이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장점은 6~12주 동안 방사통이 있는 환자의 통증을 더 빨리 완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Clark et al. (2019)는 보다 최근의 또 다른 체계적 검토를 수행하여 동일한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비수술적 개입에 비해 수술은 단기 및 중기적으로 통증을 줄이고 기능을 개선할 수 있지만, 이러한 차이는 장기적으로 지속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영국의 NICE 가이드라인에서 제안하는 것처럼 통증 완화를 위한 다른 옵션, 예를 들어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약한 오피오이드 또는 경막외 주사제를 먼저 고려해야 합니다.
수술이나 시간이 지나면 다리 통증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지만, 허리 통증은 개선되지 않는 환자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 임상의로서 우리의 주된 역할은 아마도 교육과 안심을 제공하고 환자가 허리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이는 등급별 활동 또는 등급별 노출 프로그램(위 동영상 참조)을 통해 몸을 구부리는 것과 같은 특정 움직임과 관련된 두려움에 도전할 수 있습니다.
요추 방사통 증후군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가요? 그런 다음 블로그 글과 연구 리뷰를 확인하세요:

 

 

참조

Albert, H. B., & Manniche, C. (2012). 중증 좌골 신경통 환자를 위한 체계적인 적극적 보존 치료의 효과: 단일 맹검, 무작위 배정, 임상, 대조 시험.

보덕, N. (2009). 요통, 참조 통증 및 방사통의 정의와 생리에 대해 알아보세요. 통증®, 147(1-3), 17-19.

Clark, R., Weber, R. P., & Kahwati, L. (2020). 요추 신경근병증의 수술적 관리: 체계적인 검토. 일반 내과학 저널35, 855-864.

엡스타인, N. E. (2002). 추간판 및 극외측 요추 추간판 탈출증: 수술적 대안 및 결과 조치. 척수, 40(10), 491-500.

페르난데스, M., 하트빅센, J., 페레이라, M. L., 레프샤우지, K. M., 마차도, A. F., 레메스, Í. R., ... & Ferreira, P. H. (2015). 좌골 신경통을 관리하기 위해 활동적인 활동을 유지하거나 체계적인 운동을 하도록 조언합니다. 스파인, 40(18), 1457-1466.

제이콥스, W. C., 반 툴더, M., 아트, M., 루빈스타인, S. M., 반 미델쿱, M., 오스텔로, R., ... & 피울, W. C. (2011). 요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인한 좌골 신경통의 수술 대 보존적 관리: 체계적 고찰. 유럽 척추 저널20, 513-522.

Koes, B. W., Van Tulder, M. W., & Peul, W. C. (2007). 좌골 신경통의 진단 및 치료. Bmj, 334(7607), 1313-1317.

Lee, M. W. L., McPhee, R. W., & Stringer, M. D. (2008). 인간 더마톰에 대한 증거 기반 접근 방식. 임상 해부학: 미국 임상 해부학자 협회 및 영국 임상 해부학자 협회 공식 저널, 21(5), 363-373.

Luijsterburg, P. A., Verhagen, A. P., Ostelo, R. W., Van Den Hoogen, H. J., Peul, W. C., Avezaat, C. J., & Koes, B. W. (2008). 좌골 신경통에 대한 물리 치료와 일반의의 치료 대 일반의의 단독 치료: 12개월 추적 관찰을 통한 무작위 임상 시험. 유럽 척추 저널17, 509-517.

NHG-werkgroep Schaafstra A, Spinnewijn WEM, Bons SCS, Borg MAJP, Koes BW, Ostelo RWJG, Spijker-Huiges A, Burgers JS, Bouma M, Verburg-Oorthuizen AFE.

Vroomen, P. C. A. J., De Krom, M. C. T. F. M., Wilmink, J. T., Kester, A. D. M., & Knottnerus, J. A. (2002). 요천추 신경근 압박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병력 및 신체 검사의 진단적 가치. 신경학, 신경외과 및 정신의학 저널, 72(5), 630-634.

예, C., 렌, J., 장, J., 왕, C., 류, Z., 리, F., 선, T. (2015). 요추 추간판 탈출증을 앓고 있는 젊은 남성 환자의 요추 안정화 운동과 일반 운동의 1년 추적 관찰 후 비교. 국제 임상 및 실험 의학 저널, 8(6), 9869.

배우고 있는 내용이 마음에 드시나요?

코스 따라가기

  •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속도로 학습하기
  • 수상 경력에 빛나는 팀이 제공하는 대화형 온라인 강좌
  • 네덜란드, 벨기에, 미국 및 영국의 CEU/CPD 인증
온라인 코스

드디어! 수년간의 인생과 수천 유로를 들이지 않고 단 40시간 만에 척추 질환 치료를 마스터하는 방법 - 보장!

자세히 알아보기
물리 치료 온라인 코스
힘줄 코스
리뷰

이 과정에 대한 고객의 의견

무료 앱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