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측 상과염 / 테니스 엘보 | 진단 및 치료

외측 상과염 / 테니스 엘보 | 진단 및 치료
소개 및 역학
외측 상과염은 흔히 테니스 엘보라고 불리는 빈번한 환자 불만 사항입니다(Pitzer et al. 2014). 테니스 엘보라는 이름과 측면 상과염(LE)의 연관성은 이 질환이 오랫동안 라켓 스포츠와 관련이 있고 테니스 선수의 약 10~50%가 선수 생활 중 LE가 발생한다는 사실 때문입니다(반 후프베겐 외 2010).
테니스 엘보는 반복적인 미세 외상에 의한 상완 요골 신근(ECRB) 근육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상지 신근의 관여 여부에 관계없이 ECRB의 원발성 건염을 유발합니다 (De Smedt et al.). 2007).
상과염이라는 용어는 조직학적 연구에서 감염된 조직에서 염증 세포(대식세포, 림프구, 호중구)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섬유아세포 조직과 혈관 침범이 '건염'이라는 용어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오히려 풍부한 섬유아세포, 혈관 증식, 구조화되지 않은 콜라겐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과정을 정의합니다 (De Smedt et al. 2007).
Tichener et al. (2013)은 LE 발병 위험 요인을 후향적으로 선별한 499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대규모 사례 대조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연구팀은 회전근개 병리(OR 4.95), 드 쿠르베병(OR 2.48), 손목 터널 증후군(OR 1.50), 경구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OR 1.68), 이전 흡연(OR 1.20)이 테니스엘보 발병과 관련된 위험 요인임을 밝혀냈습니다. 당뇨병, 현재 흡연, 방아쇠 손가락, 류마티스 관절염, 알코올 섭취, 비만은 LE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샌더스 등 (2015)에 따르면 미국 인구의 연간 LE 발생률은 2000년 1000명당 4.5명에서 2012년 1000명당 2.4명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년 내 재발률은 8.5%에 달하며 시간이 지나도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2년 이내에 수술 치료를 받은 사례의 비율은 2000년 1.1%에서 2009년 이후 3.2%로 3배 증가했습니다. 6개월 후에도 증상이 지속되는 환자 10명 중 약 1명은 수술이 필요했습니다.
이 연구에서 진단을 받은 평균 연령은 47±11세였으며 성별 분포는 동일했습니다. 따라서 40~49세 연령대에서 남성 환자 1000명당 7.8명, 여성 환자 1000명당 10.2명으로 발병률이 가장 높습니다.
가장 많이 보고된 직업은 사무원/비서, 그다음으로 의료 종사자, 주로 간호사였습니다. 오른쪽 팔꿈치는 63%에서 영향을 받았습니다. 25% 왼쪽), 환자의 12%는 양쪽 팔꿈치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 세계 인구의 약 70~95%가 오른손잡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때 우세한 팔이 더 자주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홀더 외). 2001)
16%의 환자에서 업무 제한이 보고되었으며, 4%는 1~12주 동안 일을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LE 발병률은 1000인년당 2.98명이었습니다(Wolf et al. 2010).
또 다른 연구 Leach et al. (1987)에 따르면 LE는 내측 상과통보다 7~10배 더 흔하다고 합니다.
코스 따라가기
-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속도로 학습하기
- 수상 경력에 빛나는 팀이 제공하는 대화형 온라인 강좌
- 네덜란드, 벨기에, 미국 및 영국의 CEU/CPD 인증
임상 프레젠테이션 및 검사
팔꿈치 통증은 상과염 환자의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이 통증은 외상이나 부상으로 인해 급성으로 발병할 수 있지만 서서히 진행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팔뚝을 반복적으로 쥐었다 폈다 하는 병력을 가지고 있습니다(Orchard et al. 2011). 통증은 일반적으로 활동할 때 더 심해지고 휴식을 취하면 완화되며 손목 신전근(LE) 근육을 따라 팔뚝 아래로 퍼지거나 퍼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는 손의 힘이 약해지고 물건을 운반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Pitzer et al. 2014).
시험
철저한 평가와 감별 진단을 위해 경추, 어깨, 팔꿈치, 손목을 두 질환 모두에서 검사해야 합니다. 가능한 경쟁 진단으로 C5-C6의 경추 신경근 병증을 배제하는 것 외에도 목 및 어깨 장애는 외측 상 과통의 회복에 부정적인 예후 인자로 밝혀졌습니다(Smidt et al. 2006). 외측 상과 통증이 있는 환자는 외측 상과 근위부 또는 외측 상과 근위부 바로 원위부에 압통이 있습니다. 환자는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운동 범위를 가지고 있지만, 일부 환자는 측면 팔꿈치 통증으로 인해 팔꿈치를 적극적으로 펴는 데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신근 기원의 경미한 연조직 부종은 드물지 않으며 일부 환자는 비복근 삼각형에 충만감이있습니다 (Orchard et al. 2011).
이러한 테스트를 수행하는 방법을 알아보려면 아래 동영상을 시청하세요:
어깨 통증과 척골 쪽 손목 통증에 대한 두 가지 100% 무료 웨비나를 시청하세요.
코스 따라가기
-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속도로 학습하기
- 수상 경력에 빛나는 팀이 제공하는 대화형 온라인 강좌
- 네덜란드, 벨기에, 미국 및 영국의 CEU/CPD 인증
치료
LE의 경과는 1년 추적 조사 후 환자의 89%가 통증이 개선되었다고 보고하는 등 유리하지만 무작위 대조 시험에서는 피터슨 외 (2011)에 따르면 매일 점진적으로 운동하는 것이 3개월 추적 관찰에서 관망하는 접근 방식에 비해 통증에 대한 우수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현재로서는 어떤 운동 방식이 다른 운동 방식보다 우수하다는 공통된 합의가 없습니다. 등척성 운동은 일반적으로 건병증의 통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이지만, 쿰브스 등(Coombes et al. (2016)에 따르면 개인별 통증 역치보다 높지만 그 이하가 아닌 강도로 급성 등척성 운동을 수행한 후 통증 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등척성 운동은 여전히 외측 상과염 재활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통증 역치 이상의 운동은 다른 신체 부위에 비해 팔꿈치에 덜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피터슨 외 (2014)는 만성 LE 환자를 대상으로 동심성 운동과 편심성 운동의 일일 가정 운동 프로그램을 비교했습니다. 그들은 편심 운동 그룹에서 2개월 후부터 통증이 더 빨리 감소하고 근력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러나 두 그룹 모두 통증과 근력 측면에서 상당한 개선을 보였으며, 12개월 추적 조사에서 두 그룹 간의 대략적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저자들은 두 가지 운동 모드를 모두 사용하여 운동 수행을 단순화할 수 있지만, 편심적 작업 단계를 강조하는 것이 아마도 이점을 제공할 것이라고 결론지었습니다.
다음 연습은 Kenas et al. (2015)는 외측 상과염 재활 프로그램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운동의 동심원 부분도 포함되도록 수정했습니다:
1) 손목 확장:
- 환자가 팔뚝을 내전 상태로 허벅지나 다른 표면을 받치고 앉게 합니다.
- 팔꿈치는 약 60도 정도 구부려야 합니다.
- 그런 다음 제어된 방식으로 간단한 덤벨 컬을 수행합니다.
- 편심된 부분을 분리하려면 손목을 사용하지 않은 팔로 손목을 위쪽 위치로 되돌리면 됩니다.
2) 트위스트 바가 있는 손목 확장:
- 팔꿈치를 90도로 구부린 상태에서 환자는 트위스트 바의 아래쪽 끝을 잡고 손목을 최대로 뻗습니다.
- 환자는 관여하지 않은 팔로 손바닥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트위스트 바의 상단을 잡고 손목을 최대한 구부린 다음, 관여한 손목은 펴진 상태로 유지합니다.
- 그런 다음 환자는 양쪽 팔꿈치를 뻗은 상태에서 팔을 몸 앞으로 가져와 트위스트 바를 천천히 "비틀어" 관련 손목이 편심 손목 확장으로 움직이도록 합니다.
- 운동의 편심 부분을 분리하려면 시작 위치로 이동하여 다시 시작하세요.
- 운동의 동심원 부분을 포함하려면 환자에게 트위스트 바를 몸 앞에 두도록 합니다.
- 그런 다음 영향을 받은 손목을 동심원 방향으로 완전히 구부리게 합니다.
- 그 후 손목을 천천히 편심 수축하면서 다시 신전 상태로 움직입니다.
- 이 운동의 좋은 보너스는 후자의 수정에서 관여하지 않은 쪽도 동심원 또는 등척성으로 훈련된다는 것입니다.
3) 신축성 있는 밴드로 보조하기:
- 고무줄을 팔꿈치 높이의 기둥에 고정합니다.
- 팔꿈치를 90도 구부린 상태에서 환자는 최대 회내전 상태에서 탄성 밴드를 잡고 앵커에서 멀어져 밴드가 긴장 상태를 유지합니다.
- 그런 다음 환자에게 동심 부분에 대해 제어된 외반을 수행하도록 요청하고 편심 부분에 대해 다시 내반으로 전완 회전을 저항합니다.
- 편심 부분만 분리하려면 밴드에 약간의 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완전 외전으로 시작하여 폴에서 옆으로 물러나면서 장력을 높입니다.
- 그런 다음 손바닥을 아래로 180도 회전하여 편심 보조를 허용합니다.
- 그런 다음 앵커 쪽으로 뒤로 물러나서 시작 위치로 돌아갑니다.
4) 망치 또는 덤벨을 이용한 보조기 사용
- 팔꿈치를 60도로 구부린 상태에서 환자는 중립 그립으로 망치 손잡이의 말단 끝을 잡고 무게가 실린 쪽이 위에 오도록 잡습니다.
- 그런 다음 팔뚝을 손바닥을 아래로 향하도록 90도 천천히 회전하여 편심 외전 자세를 취합니다.
- 운동의 편심 부분을 분리하려면 해머를 사용하지 않은 팔로 시작 위치로 되돌립니다.
- 동심 부분을 포함하려면 해머가 시작 위치로 돌아갈 수 있도록 팔뚝을 상복하십시오.
저자는 세션당 손목 신전 운동 한 가지와 손목 외전 운동 한 가지를 10회 반복하는 2세트로 구성할 것을 권장합니다. 각 반복은 천천히 제어된 방식으로 수행해야 합니다. 적절한 회복과 콜라겐의 긍정적인 순 합성을 위해 일주일에 3번, 그 사이에 24~48시간의 휴식 기간을 두고 세션을 진행해야 합니다.
다른 신체 부위의 건병증과 마찬가지로 재활을 위해서는 부하를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환자는 팔꿈치 통증을 악화시키는 활동을 일시적으로 피하거나 줄여야 합니다. 동시에, 운동 프로그램은 힘줄의 현재 능력에 최대한 가깝고 재활 과정에서 적응을 촉진하기 위해 진행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환자가 통증 없이 견딜 수 있는 훈련량으로 시작하고 운동에 대한 환자의 24시간 반응을 면밀히 관찰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 후 24시간이 지나도 통증이 악화되지 않으면 저항력을 높이는 형태로 반복, 세트 또는 강도를 추가하여 운동량을 서서히 늘릴 수 있습니다.
팔꿈치 질환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가요? 그런 다음 블로그 글과 연구 리뷰를 확인하세요:
참조
Van Hofwegen, C., & Baker, C. L. (2010). 운동선수 팔꿈치의 상과염. 스포츠 의학 클리닉, 29(4), 577-597.
케나스, A., 마시, M., & 쿤츠, C. (2015). 외측 상과염에 대한 편심 중재. 근력 및 컨디셔닝 저널, 37(5), 47-52.
Leach, R. E., & Miller, J. K. (1987). 팔꿈치의 외측 및 내측 상 과염. 스포츠 의학 클리닉, 6(2), 259-270.
오차드, J., & 쿤투리스, A. (2011). 테니스 엘보 관리. Bmj, 342.
Pitzer, M. E., Seidenberg, P. H., & Bader, D. A. (2014). 팔꿈치 건병증. 의료 클리닉, 98(4), 833-849.
코스 따라가기
-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속도로 학습하기
- 수상 경력에 빛나는 팀이 제공하는 대화형 온라인 강좌
- 네덜란드, 벨기에, 미국 및 영국의 CEU/CPD 인증
어깨, 팔꿈치 및 손목 결림 평가 및 치료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세요.
이 과정에 대한 고객의 의견
- 센느 가브리엘30/12/24팔꿈치 병리 및 관리에 대한 완전한 이해 가능한 모든 감별 진단에 대한 매우 광범위한 설명과 다양한 운동 카탈로그가 포함된 훌륭한 종합 관리 전략을 제공합니다.바바라14/12/24정말 좋아요 항상 그렇듯이 나만의 리듬에 맞춰 학습할 수 있는 완벽한 지원.
명확한 설명과 증거 기반.
감사합니다 - 미카 트롬프06/12/24멋진 코스! 골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의 차이점을 잘 설명해 주셨습니다. 임상 추론에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새로운 기능도 배웠습니다.아넬린 피터스03/04/24상지 포커스 - 손목과 손 훌륭한 콘텐츠!
파트별 동영상, 텍스트, 퀴즈 등 강의가 제공되는 방식에 매우 만족합니다.
훌륭한 선생님, 해부학에 대한 훌륭한 재교육. - 도미닉 마이어01/04/24상지 초점: 손목 & 손 임상적으로 관련성이 높고 매우 잘 구성된 코스!
이 과정은 임상적으로 관련성이 높고 매우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손목과 손은 매우 복잡한 주제이므로 포괄적이고 논리적인 방식으로 설명했습니다. 정말 추천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이론과 특히 사례가 마음에 듭니다. 감사합니다!리젤로 롱제29/12/23상지 집중-어깨 결림은 이제 그만!
이 강의는 제가 피지오튜터와 인터넷을 통해 수강한 두 번째 강의로, 이전 강의와 마찬가지로 매우 유익한 강의입니다. 이 커리큘럼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동영상을 통해 움직임을 통한 동원과 같은 처리 기술을 익힐 수 있습니다. 또한 자신만의 템포에 맞춰 커서를 움직일 수 있고 커서를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완전히 몰입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입니다. 저는 오늘도 다른 물리학자들의 글을 읽고 다른 사람들도 읽어보려고 합니다! - 미에케 버스티그01/12/22상지 초점 - 팔꿈치의 품질이 매우 높습니다.
네덜란드어로 번역하는 것이 더 나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언제든지 메일/전화로 도움을 요청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