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요추/SIJ 2025년 8월 18일
콘도 외, Clin J Pain. (2025)

요추 수술에서 자기 효능감의 조절 역할

요추 수술의 자가 효능감

소개

지난 수십 년 동안 요추 수술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특히 환자의 약 1/3이 수술 후 결과가 좋지 않기 때문에 신중한 환자 선택과 타겟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심리사회적 요인은 더 나쁜 결과를 예측하기 때문에 수술 전에 평가해야 하는 중요한 예후 요인으로 점점 더 많이 인식되고 있습니다. 수술 전 우울증 점수가 높은 환자는 수술 후에도 질병 중증도 점수가 더 나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Javeed 등, 2024). 반면에 자신의 건강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환자는 수술 후 더 나은 결과를 보입니다(Gaudin et al. 2017). 요추 수술 후 모든 결과가 충분한 성공률을 보이는 것은 아니며 수술은 되돌릴 수 없으므로 수술에 반응할 가능성이 있는 환자를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통증 자기효능감은 만성 통증 관리에서 보호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이전 연구에서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대한 통증 자기효능감의 역할만 단독으로 조사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통증 자기효능감이 여러 심리사회적 요인과 건강의 질 사이의 관계에서 중재자 중재자로서의 통증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조사했습니다. 

 

방법

이 단면 연구는 요추 수술을 기다리는 환자의 심리사회적 요인과 건강 관련 삶의 질(HRQOL)의 연관성에 대한 요추 수술에서 통증 자기효능감의 조절 역할을 조사했습니다. 이 연구는 2021년 4월부터 2023년 3월까지 일본에서 실시되었습니다. 중요한 점은 모든 데이터 수집은 수술 전날에 이루어졌으며 수술 후에는 측정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대상자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으로, 다음과 같은 조건에 해당하는 사람입니다. 요추 척추관 협착증 또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 치료를 위한 요추 유합술 또는 감압술이 예정되어 있는 20세 이상의 성인입니다. 요추 골절, 탈구, 종양, 이전 요추 수술 또는 신경 질환이 있는 환자는 제외되었습니다.

모든 참가자는 일반적으로 NSAID, 아세트아미노펜, 근육 이완제, 프레가발린 또는 가바펜틴(신경병증 증상용), 심한 통증의 경우 트라마돌을 포함한 표준 통증 관리를 받았습니다.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BMI), 진단 관련 임상 데이터와 같은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의료 기록에서 추출했습니다. 수술 전날에 다음과 같은 측정값을 얻었습니다:

  • HRQOL을 파악하기 위해 EuroQol 5차원(EQ-5D) 설문지를 작성했습니다. 이 도구는 5가지 차원(이동성, 자기 관리, 일상 활동, 통증/불편, 불안/우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3단계 척도(문제 없음, 약간 문제, 극심한 문제)로 평가됩니다. 점수는 0점(상상할 수 있는 최악의 건강 상태)에서 100점(상상할 수 있는 최고의 건강 상태)까지입니다.
  • 통증 강도는 4항목으로 구성된 통증 강도 척도(P4)를 사용하여 측정했습니다. 이 척도는 각 항목에 대해 11점 숫자 등급 척도(0=통증 없음, 10=통증이 매우 심함)를 사용하여 아침, 오후, 저녁 및 지난 2일 동안의 활동 시 통증 강도를 평가합니다(0=통증 없음, 10=통증이 매우 심함). 총점 범위는 0점부터 40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통증의 강도가 심함을 나타냅니다.
  • 통증 자기효능감은 2문항으로 구성된 일본어 버전의 통증 자기 효능감 설문지(PSEQ). 각 항목은 7점 척도(0=전혀 자신 없음, 6=전혀 자신 있음)로 평가되며 총 점수는 0점부터 12점까지입니다. 점수가 높을수록 통증 자기효능감이 높음을 나타냅니다.
  • 불안과 우울증은 두 개의 7항목 하위 척도로 구성된 일본판 병원 불안 및 우울증 척도(HADS)를 사용하여 평가했습니다: HADS-A(불안) 및 HADS-D(우울). 각 항목은 4점 척도(0~3점)로 평가되며, 총 하위 척도 점수는 0~21점이고 점수가 높을수록 불안과 우울증의 심각도가 높음을 나타냅니다.
  • 움직임에 대한 두려움(운동공포증)은 11개 항목으로 구성된 일본판 탬파 운동공포증 척도(TSK)를 사용하여 측정했습니다. 각 항목은 1(매우 동의하지 않음)에서 4(매우 동의함)까지의 척도로 평가되며, 총 점수는 11~44점이고 점수가 높을수록 이동에 대한 두려움이 높다는 것을 반영합니다.
  • 통증 재앙화는 6항목으로 구성된 일본판 통증 재앙화 척도(PCS)를 사용하여 평가했습니다. 각 항목은 0점(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4점(항상 그렇다)까지의 척도로 평가되며, 총점은 0점부터 24점까지로 점수가 높을수록 고통의 정도가 심함을 나타냅니다.
  • 중추 감작 관련 증상은 9개 항목으로 구성된 일본판 중추감작 인벤토리(CSI)를 사용해 평가했습니다. 각 항목은 0(전혀 없음)에서 4(항상 있음)까지의 척도로 평가되며, 총점은 0점부터 36점까지로 점수가 높을수록 중추 감작 관련 증상의 심각도가 증가함을 나타냅니다.

계층적 다중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통증 자기효능감이 HRQOL에 미치는 직접적인 연관성과 조절 효과를 조사했습니다(종속 변수로 EQ-5D 사용).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통증 강도를 공변량으로 입력했습니다. 심리사회적 요인(HADS-A, HADS-D, TSK, PCS, CSI, PSEQ)이 통합되었습니다. 통증 자기 효능감과의 상호작용을 평가했습니다.

 

결과

최종 분석에는 총 258명의 참가자가 포함되었으며, 이 중 111명이 여성, 147명이 남성이었습니다. 참가자의 평균 연령은 62세, 평균 BMI는 24.14(SD)였습니다: 4.5) kg/m2. 참가자 5명 중 4명 이상에서 요추 협착증이 주요 진단명이었습니다(83.7%). 참가자의 16.3%만이 요추 추간판 탈출증 진단을 받았습니다. 

요추 수술의 자기 효능감
From: 콘도 외, Clin J Pain. (2025)

 

1단계에서는 회귀 분석에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통증 강도를 도입하여 이 변수가 HRQOL의 분산 중 20.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증 강도는 HRQOL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습니다. 2단계에서는 회귀 분석에 심리사회적 요인을 도입하여 통증 자기효능감, 운동 공포증, 통증 재앙이 HRQOL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음을 밝혀냈습니다. 이러한 변수는 HRQOL의 분산에 16.8%를 더 추가했습니다. 3단계에서는 통증 자기효능감과 다른 변수 간의 상호작용을 탐색했습니다. 이 단계는 HRQOL 분산 중 6.5%를 추가로 설명했습니다. 따라서 최종 모델은 HRQOL의 분산 중 43.8%를 설명했습니다.

요추 수술의 자기 효능감
From: 콘도 외, Clin J Pain. (2025)

 

통증 자기 효능감과 통증 강도, 불안, 운동 공포증 및 파국화 사이에 유의미한 상호 작용이 발견되었습니다. 따라서 요추 수술이 예정된 환자에서 통증 자기효능감의 조절 역할이 나타났습니다.

저자는 단순 기울기 분석을 사용하여 통증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계층화된 중요한 심리사회적 요인과 HRQOL 간의 관계를 조사했습니다. PSEQ 점수는 높은 수준의 자기 효능감과 낮은 수준의 자기 효능감으로 나뉘었습니다.

요추 수술의 자기 효능감
From: 콘도 외, Clin J Pain. (2025)

 

통증 강도: HRQOL과의 부정적인 연관성은 통증이 낮은 그룹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습니다. 자기 효능감 그룹(B= -0.008, P<0.001)이 높은 통증 자기효능감 그룹(B= -0.004, P=0.001)에 비해 더 강했습니다.

요추 수술의 자기 효능감
From: 콘도 외, Clin J Pain. (2025)

 

불안: HRQOL과의 부정적인 연관성은 낮은 통증 자기 효능감 그룹(B= -0.012, P=0.002)에서 유의했지만, 높은 통증 자기 효능감 그룹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습니다. 자기 효능감 그룹(B=0.008, P=0.068).

요추 수술의 자기 효능감
From: 콘도 외, Clin J Pain. (2025)

 

움직임에 대한 두려움: HRQOL과의 부정적인 연관성은 낮은 통증 그룹에서 유의미했습니다. 자기 효능감 그룹(B= -0.010, P<0.001)에서는 유의했지만, 통증 자기효능감이 높은 그룹(B= -0.003, P=0.204)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습니다.

요추 수술의 자기 효능감
From: 콘도 외, Clin J Pain. (2025)

 

통증 재앙화: HRQOL과의 부정적인 연관성과의 부정적인 연관성은 낮은 통증 자기 효능감 그룹(B= -0.008, P<0.001)에서는 유의했지만, 높은 통증 자기 효능감 그룹(B= -0.001, P<0.001)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습니다. 그룹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습니다(B= -0.001, P=0.714).

요추 수술의 자기 효능감
From: 콘도 외, Clin J Pain. (2025)

 

질문과 생각

이 기사에서는 참가자들의 통증 특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연구진은 척추 유합술 또는 감압술이 예정된 요추 협착증 또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도 포함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그 외에는 통증의 특징에 대해서는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미묘한 감각 이상과 경련부터 심한 근력 상실까지 증상이 매우 다양할 수 있으므로 증상에 따라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신경학적 증상이 빠르게 악화되는 사람은 응급 수술이 더 효과적일 수 있지만, 다리에 경미한 경련이 있는 사람은 비수술적 접근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척추관 협착증과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도 모두 포함되었습니다. 이러한 병리는 공통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지만 근본적인 병리 생리학은 다릅니다. 요추관협착증은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상이 서서히 진행되며, 서서히 발병하는 질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허리 디스크 탈출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진행될 수도 있지만, 갑작스러운 부상이나 외상 후 디스크 탈출증이 더 급격하게 발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근본적인 병리 기전이 관련 심리사회적 요인에도 큰 역할을 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급성 요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인해 급성으로 증상이 나타난 사람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상이 상대적으로 천천히 진행되는 사람보다 불안, 통증, 운동 공포증, 파국적 상황에 대한 두려움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후자의 경우 특정 움직임이 통증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피하거나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배웠을 수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환자 그룹 간의 차이는 조사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참가자의 80% 이상이 척추관 협착증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도 강조해야 합니다.

요추 수술을 받기 전날의 심리사회적 측정치 수집은 심리사회적 요인 자체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 수술을 받기 전날에는 일반적으로 불안 수준이 높아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괴상한 이야기

잠재적으로 중요한 한계는 요추 수술 환자의 자기효능감을 파악하기 위해 2항목의 짧은 PSEQ를 사용했다는 점입니다. 저자들은 이 단축 버전이 수용 가능한 내부 일관성을 달성했다고 밝혔지만, 통증 자기효능감의 다차원적 특성을 완전히 포착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도 인정했습니다. 통증 자기효능감이 연구의 주제인 만큼, 이는 연구 결론에 중요한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연구의 연구자들은 다중공선성을 확인한 결과 변수 간의 관계가 그리 강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상관관계는 0.10~0.65, VIF는 1.0~3.3 사이). 즉, 다중공선성은 논문의 연구 결과에 큰 위협이 되지 않았으며, 요추 수술 예정 환자에서 통증 자기효능감의 연관성 및 조절 효과에 관한 통계 분석 결과에 대해 합리적으로 확신할 수 있습니다.

 

집으로 가져갈 메시지

요추 수술 예정 환자의 통증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직접적인 긍정적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증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통증 강도, 불안, 운동 공포증, HRQOL 악화 사이의 부정적인 관계가 약화됩니다. 이는 척추 수술이 예정된 환자 집단에서 수술 전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사회적 프로필이 더 우호적이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환자가 자신의 통증 관리 능력에 대한 믿음이 강할수록 극심한 통증, 불안감, 움직이기 두려움, 통증으로 인한 파국 같은 나쁜 영향은 덜합니다. 통증 자기효능감을 일종의 방패로 생각하세요. 이 보호막이 더 강하면(자기효능감이 높으면) 심한 통증이나 불안과 같은 부정적인 것들을 완전히 없애지는 못하지만, 수술 전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덜 심각해집니다. 이 연구는 통증 관리에 대한 강한 믿음이 이러한 어려운 감정 및 경험과 환자의 전반적인 기분 사이의 부정적인 연관성을 약화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기억해야 할 중요한 점은 모든 측정이 수술 전날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참가자의 상태에 대한 스냅샷을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이는 수술 후 결과의 변화를 반영하지 않습니다. 이것이 단면 연구의 가장 큰 한계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의 결과는 자기효능감이 낮은 환자에서 심리사회적 요인과 HRQOL 사이에 더 강한 부정적 연관성이 나타나며, 향후 연구를 통해 요추 수술 환자의 통증 자기효능감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술 후 수술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참조

콘도 Y, 와타나베 Y, 미키 T, 쓰시마 K, 오츠키 R, 타케바야시 T. 통증 자기 효능감은 요추 수술 예정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심리 사회적 요인의 연관성을 조절합니까? Clin J Pain. 2025 Jun 1;41(6):e1285. 도이: 10.1097/AJP.0000000000001285. PMID: 40105726.

근막의 세계 탐험하기

근막의 역사부터 다양한 기능까지 알아보세요.

저명한 해부학자 칼 제이콥스와 함께 근막의 세계로 여행을 떠나는 10분짜리 무료 동영상 시리즈를 3번 시청하세요.

 

무료 근막 웨비나 CTA
무료 앱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