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발목/발 2023년 10월 30일
Willemse et al. (2023)

내재된 발 근육을 활성화하는 운동

내재된 발 근육의 활성화

소개

발은 일상 및 운동 활동을 지원하는 기반입니다. 따라서 발과 발목의 부상을 예방하고 극복하기 위해서는 발과 발목, 더 높은 운동 사슬의 부상을 예방하고 극복하기 위해서는 좋은 지지 기반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발의 내측 세로 아치를 제어하고 동적 안정제 역할을 하는 데 있어 발의 내재적 근육은 특히 중요합니다. 이전에 이 주제에 대한 연구를 검토한 적이 있는데, 여기에서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고유한 발 근육을 강화하기 위해 고립된 발 운동을 사용하는 것이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운동의 단점은 많은 사람이 발 근육을 수축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여러분의 격려와 시범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이 이 근육을 수축시키지 못합니다. 기능적인 운동으로 인해 불안정한 자세가 만들어지면 발 근육이 반응하여 안정적인 지지 기반을 제공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기능적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발바닥 고유 근육의 근육 활성화 정도를 더 어려운 고립된 발 운동과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방법

발바닥 고유 발 근육의 근육 활성화를 비교하기 위해 표면 근전도를 사용하여 다음 근육의 활동을 측정했습니다:

  • M. 납치 환각증(AbH)
  • M. 손가락 굴곡근(FDB)
  • M. 굴곡성 환각증(FHB)

외향성 발가락 굴곡근을 나타내기 위해 M. flexor hallucis longus(FHL)가 선택되었습니다.

 

내재된 발 근육의 활성화
에서: Willemse 외, 물리치료사 이론 실습. (2023)

 

실험을 시작할 때 EMG 진폭을 정상화하기 위해 참조 운동을 한 번 수행했습니다. 그 후 5개의 정적 발 운동을 수행했습니다:

  1. 외반 그립
  2. 낮은 발가락 그립
  3. 발가락 벌리기
  4. 짧은 발
  5. 발가락 컬

 

내재된 발 근육의 활성화 2
에서: Willemse 외, 물리치료사 이론 실습. (2023)

 

이 운동은 발 고유의 근육을 활성화하는 5가지 기능적 운동과 비교했습니다:

  1. 발가락 자세
  2. 앞으로 숙인 발가락 자세
  3. 컴플라이언트 표면에서의 발가락 자세
  4. 발가락 걷기
  5. 호핑

 

내재된 발 근육의 활성화 3
에서: Willemse 외, 물리치료사 이론 실습. (2023)

 

기능적 운동과 비교하기 위해 근육별 고립 발 운동을 하나씩 선택했습니다. 이 운동은 특정 고유 발 근육의 평균 근전도 진폭을 가장 크게 유발한 운동이었습니다. 근육별 고립 발 운동은 FHB는 무지외반증 그립, FDB는 발가락 컬, AbH는 발가락 벌리기였습니다.

동심원 운동과 등척성 운동을 비교했습니다. 동심 발가락 컬 운동은 등척성 발가락 그립, 무지외반증 발가락 그립 및 새끼발가락 그립과 비교했습니다. 체중이 발 내재 근육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은 외발 발가락 자세와 앞으로 숙인 외발 발가락 자세를 비교하여 연구했습니다.

또한 시간에 따라 통합된 EMG 진폭을 측정했습니다. 즉, 근육의 총 활동량을 결정하기 위해 수축 시간을 염두에 두고 근육 활동을 측정합니다. 예를 들어, 홉은 매우 짧은 순간이지만 그 짧은 시간 동안 많은 근육 활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iEMG를 측정할 때는 움직임의 지속 시간을 고려합니다.

 

결과

건강한 무증상 참가자 29명이 임상시험에 참여했습니다. 평균 연령은 23세였습니다.

내재된 발 근육의 활성화 4
에서: Willemse 외, 물리치료사 이론 실습. (2023)

 

근육별 고립 발 운동과 기능적 운동의 근육 활성화 차이는 아래 그림에 나와 있습니다.

  • 발가락으로 평평한 바닥을 짚고 뛰는 자세는 외반슬 그립 운동에 비해 FHB에서 훨씬 더 많은 활동을 유발했습니다.
  • 고립된 발 운동인 "발가락 벌리기"에 비해 호핑은 AbH에서 더 많은 활동을 생성했습니다.

 

내재된 발 근육의 활성화 5
에서: Willemse 외, 물리치료사 이론 실습. (2023)

 

  • 발가락으로 걷고 뛰는 동안 FHB 근육의 iEMG는 근육별 고립 발 운동인 무지외반증 고립 발 운동보다 작았습니다. 발끝으로 걸을 때는 이 차이가 2.8배, 뛸 때는 9.1배 더 작았습니다. 즉, 3초 홀루스 그립과 동일한 양의 근육 활동을 생성하려면 평균 3단계의 발가락 걷기와 9번의 홉이 필요합니다.
  • FDB에 대한 발가락 컬의 iEMG는 발가락 걷기 및 뛰기보다 훨씬 더 컸습니다. 발가락 걷기는 2.9배, 뛰기는 7.7배 더 작은 iEMG를 보였습니다. 즉, 3초 내재적 발가락 컬 운동의 근육 활성화에 근접하려면 약 3단계의 발가락 걷기와 약 8번의 점프가 필요합니다.
  • 발가락 벌리기 3초 운동과 비교했을 때 뛰기 시 iEMG는 AbH의 경우 2.4배 작았는데, 이는 발가락 벌리기 3초 운동과 비교했을 때 AbH 근육에서 동일한 양의 근육 활동을 생성하려면 약 3번의 뛰기를 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내재된 발 근육의 활성화 6
에서: Willemse 외, 물리치료사 이론 실습. (2023)

 

등척성 운동은 FHB와 AbH의 동심성 운동보다 평균 근육 활성화가 훨씬 더 컸습니다. 반면에 동심원 운동은 FDB 및 FHL 근육에서 더 많은 근육 활동을 생성했습니다.

발끝을 앞으로 숙인 자세에서 발에 체중을 싣는 것은 일반 자세에 비해 근육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질문과 생각

발 고유의 근육을 분리한다는 아이디어는 애초에 어디에서 나온 것일까요? 이는 아마도 외발 근육의 보상을 피하기 위한 것이었을 것입니다. 아마도 이것은 내재된 발 근육의 작용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이었겠지만, 이를 연구하는 것 외에는 재활에 도움이 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일상 생활에서 발바닥 근육을 활성화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그보다 더 상위에 있는 다른 근육으로 보상하게 되므로 이를 피하고 싶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무릎 관절 주변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내측 광배근만을 목표로 하는 것은 아니겠죠?

이 연구는 어린이의 발과 발목 문제 재활에 유망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잠재적으로 효율적인 하중 전달과 충격 흡수를 위해 올바른 발 자세를 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고립된 발 운동은 설명하기 어렵고 어린 아이들과 청소년에게 가르치기는 더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 연구는 잠재적으로 유용한 다른 다양한 동작을 제공합니다. 발가락을 벌리는 것보다 발끝으로 뛰는 운동을 시키는 것이 더 재미있는 놀이가 될 수도 있습니다.

 

괴상한 이야기

  • 이 연구에서는 표면 근전도를 사용하여 내재성 발 근육(및 외재성 FHL 근육)의 근육 활동을 측정했습니다. 근육 신호를 측정하는 비침습적 방법이지만 다른 근육의 혼선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 이 연구의 데이터는 이러한 운동의 훈련 효과를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력과 적응에 대한 두 가지 유형의 훈련을 비교하는 시험의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 또한, 이 집단은 무증상자이므로 통증이나 발목 및 발목 (근육) 부상을 경험한 사람들의 근육 활동에 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없습니다.
  • 본페로니 보정을 사용하여 다중 테스트에 대한 p-값을 보정했습니다.
  • 검사자가 평가한 대로 운동 성능이 좋은 데이터만 실험에 포함시켜 데이터에 '낭비'가 적도록 했습니다. 따라서 '이상적인' 수행 중 근육 활동을 반영했습니다.
  • 운동은 센서가 분리되지 않도록 표준 순서(먼저 정적 발, 정적 기능, 동적 기능)로 수행했습니다. 이로 인해 피로가 발생하여 마지막으로 수행한 운동의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

 

집으로 메시지 보내기

이 연구는 고립된 발 운동과 기능적 운동 사이의 발 고유 근육의 활성화를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발 고유의 근육을 단련하기 위해 따로 발 운동을 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신 발끝으로 서거나 발끝으로 걷거나 깡충깡충 뛰면 발바닥 근육에 같은 양 또는 그 이상의 근육 활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러한 운동은 잠재적으로 더 쉽게 수행할 수 있고 일상 생활에 쉽게 통합할 수 있어 훈련의 시간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참조

젊은 성인의 고립된 발 운동과 비교한 기능적 운동 중 발바닥 내재적 발 근육 활성화. 물리치료사 이론 실습. 2023 Apr 26:1-13. 도이: 10.1080/09593985.2023.2204947. 인쇄 전 전자책. PMID: 37126537.

추가 참조

쿠리하라 T, 야마우치 J, 오츠카 M, 토토리 N, 하시모토 T, 이사카 T. 자기공명영상 기법에 의한 인간 발바닥 내재 및 외재 근육의 최대 발가락 굴곡근 강도 및 정량적 분석. J 발목 Res. 2014 May 5;7:26. 도이: 10.1186/1757-1146-7-26. PMID: 24955128; PMCID: PMC4049512. 

운동선수 재활을 위한 무료 웨비나

햄스트링, 종아리 및 대퇴사두근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 주의해야 할 점

수준급 선수든 아마추어 선수든 부상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이러한 위험 요소를 놓쳐서는 안 됩니다. 이 웨비나를 통해 이러한 위험 요소를 파악하여 재활 중에 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 근육 부상 웨비나 CTA
무료 앱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