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지 PSEQ 2024년 10월 11일

통증 자기 효능감 설문지

국제 무릎 문서화 위원회(IKDC)

통증 자기 효능감 설문지(PSEQ)

통증 자기효능감은 증상이나 통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활동을 수행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설명됩니다(Nicholas et al., 2007). 근골격계 통증을 경험하는 사람의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더 나은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제시되었기 때문에 자기효능감 수준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Martinez-Calderon 외, 2018).

자기 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신체 기능, 신체 활동 참여, 건강 상태, 업무 상태, 성과에 대한 만족도, 효능감 신념이 높고 통증 강도, 장애, 질병 활동, 우울 증상, 압통점 유무, 피로, 발표력 수준이 낮습니다(Martinez-Calderon 외., 2018). 따라서 재활 전반에 걸쳐 자기 효능감을 측정하고 개선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습니다.

통증 자기 효능감 설문지(PSEQ)는 근골격계 질환의 임상 환경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자기 효능감 설문지 중 하나입니다(Dubé et al., 2021). 최근 델파이 연구에서는 자기 효능감을 평가하는 데 이 설문지를 다른 4개의 가능한 설문지보다 선호했습니다(Sleijser-Koehorst 외., 2019).

 

유효성 및 신뢰성

PSEQ는 근골격계 질환이 있는 집단에서 타당도, 신뢰도 및 반응성이 뛰어납니다. PSEQ는 14개 언어로 각색 및 검증되었습니다(Dubé et al., 2021).

PSEQ의 구조적 타당도와 내용 타당도는 모두 강력합니다. 구성 타당도는 삶의 질, 장애, 통증, 통증 방해, 불안, 우울, 재앙의 척도와의 관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내부 일관성과 테스트-재테스트 신뢰도 모두 매우 우수합니다(Dubé et al., 2021).

PSEQ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임상적으로 중요한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PSEQ는 요통 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지속적인 요통 환자의 변화를 평가하는 데 있어 다른 척도보다 더 민감했습니다(Maughan et al. 2010).

 

 

채점 및 해석

PSEQ 설문지는 0(전혀 자신 없음)에서 6(완전히 자신 있음)까지 10개의 항목(PSEQ-10)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총 점수는 0점에서 60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에 대한 믿음이 강하다는 의미로, 통증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기능에 대한 자신감이 더 높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감지 가능한 최소 변화(MDC =11.52)와 평균 표준 오차(SEM =3.37)에 대한 풀링 추정치는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만성 요통 환자의 MCID는 60점 만점에 5.5에서 8.5 사이였습니다(Chiarotto et al. 2016), 또 다른 연구에서는 Maughan et al. (2010)에 따르면 PSEQ에서 9~11점의 변화는 MCID에 해당하며, 이는 MDC보다 낮은 수치로 연구자와 임상의가 변화를 측정하는 데 MDC를 활용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의사는 환자의 통증 자기 효능감을 평가하기 위해 자신 있게 설문지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Dubé et al., 2021).

최근에는 2개 또는 4개의 질문에만 답하면 되는 약식 버전의 PSEQ가 개발되었습니다. PSEQ-2는 통증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강력한 척도로 보이며 임상 및 연구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습니다(Nicholas et al., 2015).

만성 요통에 대한 PSEQ-2와 PSEQ-4는 1.5 점의 MCID를 보였습니다(Chiarotto et al. 2016). PSEQ-2의 민감도는 50.7%, 특이도는 84.4%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PSEQ-4의 경우 민감도 값은 80.3%, 특이도는 68.7%로 증가했습니다(Chiarotto et al. 2016).

 

PSEQ PDF 다운로드

다운로드

PSEQ 온라인 계산기


참조

니콜라스 MK. 통증 자기 효능감 설문지: 고통을 고려합니다. Eur J 고통. 2007 Feb;11(2):153-63. 도이: 10.1016/j.ejpain.2005.12.008. Epub 2006 Jan 30. PMID: 16446108. 

니콜라스 MK, 맥과이어 BE, 아스가리 A. 통증 자기 효능감 설문지의 2개 항목으로 구성된 짧은 형식: PSEQ-2의 개발 및 심리측정 평가. J 고통. 2015 Feb;16(2):153-63. 도이: 10.1016/j.jpain.2014.11.002. Epub 2014 Nov 14. PMID: 25463701.

두베 모, 랑게빈 P, 로이 JS. 근골격계 질환이 있는 인구집단에서 통증 자기효능감 설문지의 측정 특성: 체계적 고찰. 2021 Dec 21;6(4):e972. 도이: 10.1097/PR9.0000000000000972. PMID: 34963996; PMCID: PMC8701870. 

마르티네즈-칼데론 J, 자모라-캄포스 C, 나바로-레데스마 S, 루케-수아레즈 A. 만성 근골격계 통증의 예후에서 자기효능감의 역할: 체계적인 검토. J 고통. 2018 Jan;19(1):10-34. 도이: 10.1016/j.jpain.2017.08.008. Epub 2017 Sep 20. PMID: 28939015. 

슬레이저 코호스트 MLS, 비커 L, 쿠이퍼스 P, 숄텐-피터스 GGM, 코피터스 MW. 근골격계 통증 환자의 움직임, 대처, 자기 효능감 및 재앙에 대한 두려움을 평가하기 위해 선호하는 자가 관리 설문지 - 수정된 델파이 연구. 고통. 2019 Mar;160(3):600-606. 도이: 10.1097/j.pain.0000000000001441. PMID: 30422871; PMCID: PMC6407805.

치아로토 A, 반티 C, 세드라스키 C, 페라리 S, 드 리마 E 사 레센데 F, 오스텔로 RW, 필라스트리니 P. 만성 요통 환자에서 통증 자기 효능감 설문지의 반응성 및 최소한의 중요한 변화와 짧은 양식. J 고통. 2016 Jun;17(6):707-18. 도이: 10.1016/j.jpain.2016.02.012. Epub 2016 Mar 11. PMID: 26975193. 

모건 EF, 루이스 JS. 만성 요통의 결과 측정. 유로 스파인 J. 2010 Sep;19(9):1484-94. 도이: 10.1007/s00586-010-1353-6. Epub 2010 Apr 17. PMID: 20397032; PMCID: PMC2989277.


저작권 고지

가능한 경우 출처를 인용하고 도구 개발자가 지적 재산의 소유권을 보유합니다. 이러한 도구를 동적인 대화형 온라인 점수 계산기로 수정 및 생성하는 것은 공정한 사용이라고 생각합니다. 제발 이메일로 당사가 귀하의 저작권을 침해했다고 생각되면 문제가 되는 자료를 삭제할 수 있도록 이메일을 보내주세요.

무료 앱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