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 무릎 2023년 1월 31일

슬개건 병증 / 점퍼 무릎 | 진단 및 치료

슬개건 병증

슬개건 병증 / 점퍼 무릎 | 진단 및 치료

소개 및 역학

800px 점퍼 무릎슬개건 병증은 무릎 앞쪽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며 15~30세 사이의 젊은 점프하는 남성에게 가장 흔합니다. 역설적이게도 가장 높이 점프하고 가장 빨리 달릴 수 있는 운동선수들이 슬개건 병증에 걸릴 위험이 가장 높은 사람들입니다. 에 따르면 Cook et al. (1997)에 따르면 슬개건염을 앓고 있는 선수의 3분의 1이 6개월 이내에 운동에 복귀하지 못했으며, 놀랍게도 53%는 운동을 은퇴해야만 했습니다.

건병증은 정상(무부하 무릎의 경우) 또는 과도한 부하(부하 무릎의 경우)가 힘줄 손상과 퇴행을 유발하는 반응성 건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연속체로서 발전합니다. 불충분한 휴식과 함께 반복적인 로딩도 병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힘줄의 기계적 특성이 변화하여 힘줄 세포와 지질이 증가하면 부종, 기질 저하 및 신생 혈관 성장이 발생하여 힘줄이 취약해집니다.

배우고 있는 내용이 마음에 드시나요?

코스 따라가기

  •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속도로 학습하기
  • 수상 경력에 빛나는 팀이 제공하는 대화형 온라인 강좌
  • 네덜란드, 벨기에, 미국 및 영국의 CEU/CPD 인증

임상 프레젠테이션 및 검사

YouTube 동영상을 정기적으로 시청하신다면 하지 건병증 진단을 위한 6가지 팁에 대한 동영상을 보셨을 것입니다. 맞습니다:

  1. 역학 데이터(위 참조)
  2. 힘줄 접합부의 매우 국소적인 통증
  3. 근육 소모
  4. 특징적인 표지판
  5. 고강도+고속 부하 활동 24시간 후 통증 시작
  6. 부하와 고통의 비례 관계.

이 섹션에서는 슬개건에 대한 6 가지 지점을 지정하고 가능한 감별 진단을 살펴 보겠습니다.

국소 통증:

슬개건 병증은 슬개골의 하극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드물게 경골 결절에 힘줄이 삽입되는 부위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환자가 슬개골 기저부에 통증을 호소하면 대퇴사두근 건 병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슬개건 병증을 확인하는 데 유용한 검사는 로열 런던 병원 검사로, 민감도는 88%, 특이도는 98%로 슬개건 병증 환자를 다른 전방 무릎 통증의 원인과 감별하는 데 유용합니다.

검사를 수행하려면 무릎을 완전히 편 상태에서 슬개건의 근위부에서 원위부까지 압통이 있는지 촉진합니다. 그런 다음 무릎을 90도로 구부린 상태에서 압통 부위를 다시 촉진합니다. 구부린 자세의 통증이 적거나 없으면 테스트는 양성입니다.

이 위치에서 호파 테스트를 직접 수행하여 지방 패드가 관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검사의 절차는 로열 런던 병원 검사와 거의 동일하지만, 구부린 자세에서 시작하여 슬개골 하 지방 패드에서 슬개골 힘줄의 좌우 압통이 있는지 촉진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그런 다음 무릎을 곧게 편 상태에서 다시 촉진합니다. 이 검사는 구부린 자세보다 펴진 자세의 통증이 더 큰 경우에도 양성으로 판정됩니다.

지방 패드 자극은 일반적으로 더 확산된 통증이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무릎을 과도하게 펴면 악화됩니다. 사춘기가 시작되는 어린 운동선수의 경우 성장판 병리를 염두에 두고 운동해야 합니다: 가장 흔한 것은 경골 결절의 성장판을 따라 뼈가 골화되는 과사용 손상인 오스굿-슐라터 질환입니다. 가장 심한 경우, 오스굿 슐라터는 경골 결절 성장판이 융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신딩 라르센 요한슨은 오스굿 슐라터와 동일하지만 슬개골의 정점이 영향을 받는다는 점만 다릅니다.

매우 흔한 감별 진단, 즉 슬개 대퇴 통증은 확산 성 무릎 통증을 나타내며 쪼그리고 앉을 때 무릎 모반이 뚜렷한 젊은 여성에게 더 흔합니다. 의심스러운 경우 슬개골 압박과 외측화를 줄이기 위해 맥코넬 기법으로 딱딱한 테이프를 붙이면 테이프가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경우 PFPS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대퇴사두근 힘줄 깊숙이 퍼지는 통증은 슬개골 상부 지방 패드의 자극으로 인한 것일 수 있으며, 딸깍거리는 통증은 슬개골 상부 플라카 증후군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두 가지 상태 모두 영상으로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근육 소모:

근육 소모를 검사하려면 대퇴사두근과 종아리 근육의 부피와 차이를 관찰하고 환자가 근육을 많이 사용하지 않은 경우 종종 감소하는 근육의 긴장도를 촉진합니다.

홀마크 기호

슬개건 병증의 특징적인 증상은 장시간 차에 앉아있을 때처럼 무릎을 구부린 채로 앉아있을 때 통증이 느껴지는 것입니다. 하지의 다른 건 병증과 마찬가지로 슬개 건 병증은 전형적인 워밍업 통증을 나타내므로 환자가 워밍업을 한 후에는 통증이 줄어 듭니다.

고강도+고속 부하 활동 24시간 후 통증이 시작되거나 악화됨

슬개건의 경우, 증상을 유발한 점프의 양, 강도 또는 빈도가 증가했는지 구체적으로 물어봐야 합니다. 이는 장기간 휴식을 취한 후에도 종종 발생합니다. 둘째, 통증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높고 빠른 부하 활동 후 24시간 후에 증가하므로 과도한 점프 세션 후에는 통증이 심해집니다.

비례적인 부하-통증 관계

모든 건병증과 마찬가지로 슬개골 힘줄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하면 통증이 증가합니다. 하중을 견디지 못하는 환자가 30도 정도의 굴곡에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스쿼트 자세를 낮추는 것이 좋은 시작 자극 테스트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거리를 위해 양다리 뛰기, 한 다리 뛰기, 최대 뛰기, 최대 앞으로 뛰기를 계속합니다. 매우 강도 높은 테스트는 환자에게 조깅을 하다가 방향을 바꾸듯 한쪽 다리로 갑자기 멈추게 하는 것입니다.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통증의 정도는 증가해야 하므로 쇠퇴 스쿼트에서 10점 만점에 3점을 받았다면, 한쪽 다리 뛰기는 최대로 뛰거나 갑자기 뛰다가 멈출 때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야 합니다.

슬개건 병증에 대한 또 다른 일반적인 정형외과 검사는 슬개건 촉진입니다.

햄스트링, 종아리 및 대퇴사두근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 주의해야 할 점

무료 텐돈 코스
배우고 있는 내용이 마음에 드시나요?

코스 따라가기

  •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속도로 학습하기
  • 수상 경력에 빛나는 팀이 제공하는 대화형 온라인 강좌
  • 네덜란드, 벨기에, 미국 및 영국의 CEU/CPD 인증

치료

전통적으로 건병증의 재활에는 편심 운동이 권장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Kongsgaard et al. (2009)는 슬개건 병증 환자를 대상으로 편심 하강 스쿼트 프로그램을 수행한 그룹과 중저속 저항 프로그램을 수행한 그룹을 비교한 결과 12주 후 장애와 통증 측면에서 동일한 결과를 얻었습니다. 흥미롭게도 느린 저항이 심한 그룹만이 병리 개선과 콜라겐 회전율 증가를 보였으며, 더 중요한 것은 6개월 후 전체 참가자의 70%가 프로그램에 만족한 반면 편심 그룹은 22%에 그쳤습니다.

이 결과는 다음의 체계적인 검토를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Malliaras et al. (2013)의 연구에 따르면 슬개건에 대한 중-저속 부하가 고립된 편심 부하와 동등하거나 더 높은 수준의 증거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헤비 슬로우 저항 프로그램은 어떤 모습일까요? 건병증의 최고 연구자인 Peter Malliaras, Jill Cook, Craig Purdam, Ebonie Rio는 2015 에서 다음과 같은 증거 기반 4단계 재활 프로토콜을 제안합니다:

우선 통증을 악화시키는 고부하 에너지 저장 활동의 부하 수정을 사용해야합니다. 시즌 중반에 있는 선수의 경우 선수 및 코치와 상의하여 해당 활동의 양과 빈도를 줄여야 합니다. 운동 중과 운동 후에 약간의 통증이 있을 수 있지만, 운동 후 24시간 이내에 증상이 가라앉았어야 합니다. 논문에서 말리아라스는 통증 유발 테스트를 통해 매일 하중 내성을 측정하기 위해 무릎을 90도 굽히거나 통증이 허용하는 최대 각도까지 한 다리 하강 스쿼트를 한 번 반복하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활동 또는 재활 세션 후 24시간 이내에 부하 테스트의 통증 점수가 기준선으로 돌아갔다면 부하가 견딜 수 있는 수준인 것입니다. 통증이 더 심하면 부하 허용치를 초과한 것입니다.

각 재활 단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단계 - 통증 감소: 아이소메트릭 로딩

  • MVIC의 70%에서 45초 등척성 중거리(무릎 굴곡 30~60°) 한쪽 다리 대퇴사두근 운동을 하루 2~3회씩 5회 반복합니다.
  • 저항력은 견딜 수 있는 한 빨리 증가시켜야 합니다.
  • 스페인 스쿼트
  • 운동 사슬을 따라 다른 근력 부족 문제 해결

Rio et al. (2015)에서 슬개건 병증을 앓고 있는 배구 선수 6명을 대상으로 교차 실험을 실시하면서 약간의 트렌드가 시작되었습니다. 그 결과 모든 선수가 등척성 수축 후 최소 45분 동안 통증이 평균 7/10에서 0으로 즉시 감소했으며, 6명 중 1명만이 1-의 통증이 남아있다고 보고하는 등 놀라운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그들이 사용한 프로토콜은 다리 확장 기계에서 45초간 수축하고 최대 자발적 노력의 70%의 노력으로 5세트를 하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등척성 측정이 피질 억제를 감소시키고 근력을 19% 증가시킬 수 있다는 사실도 발견했습니다. 연구진은 등척성 중재와 등장성 중재를 비교했는데, 등척성 그룹에서는 등장성 중재에서 볼 수 있는 효과를 등장성 그룹에서는 얻을 수 없었습니다:

Rio2015 1
그림 출처: Rio et al. (2015)

같은 저자들은 2년 후 점프 선수들을 대상으로 시즌 중 후속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Rio et al. 2017) 에서 아이소메트릭 프로그램과 등장성 프로그램을 서로 비교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두 그룹 모두 등척성 그룹에서 즉각적인 통증 감소가 더 컸지만 결과는 조금 더 이질적이었습니다:

Rio2017
Rio et al. (2017)

최근 연구에 따르면 홀든 외 (2019)에서도 슬개건 병증에 대한 등척성 측정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진통 효과를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Holden2019
홀든 외 (2019)

Holden 외의 그림 (2019)

그러나 일반적으로 젊은 점프 남성의 질병인 슬개건 병증은 여성의 비율이 높고 평균 연령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이 특이합니다. 따라서 어떤 경우에는 슬개건 병증의 진단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두 연구는 슬개 건 병증에 대해 수행되었지만 이러한 결과를 다른 힘줄에 적용할 수 있는지 살펴 보겠습니다.

2단계 - 근육의 부피와 힘을 회복하고 힘줄의 적응을 유도합니다: 등장성 부하

  • 대퇴사두근에 등장성 부하를 가할 수 있고 통증이 NRS 3/10을 초과하지 않으면 이 단계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 처음에는 무릎을 10°에서 60°까지 굽히고 통증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90° 이상 굽히는 느린 저항 운동을 진행합니다. 여기에는 레그 프레스, 스쿼트, 핵 스쿼트, 스플릿 스쿼트, 앉아서 무릎 펴기 등이 포함됩니다. 처음에는 양반다리로 걷다가 통증이 완화되는 대로 외반다리로 진행합니다. 콩스가드 등은 15RM에 해당하는 저항으로 매일 3~4세트를 사용했고, 6RM까지 진행했습니다. 무거운 느린 저항 운동을 하는 날에는 1단계 운동을 계속합니다.

 3단계- 에너지 저장 장치 로드: 부하 허용 오차 증가 및 성능 향상

  • 근력이 양호하고 선수가 체중의 약 150%로 단일 다리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경우(예: 단일 다리 프레스 8회 반복 4세트), 훈련 후 24시간 이내에 NRS 3/10 이상의 통증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이 단계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 시작은 체중의 3배(또는 한쪽 다리의 경우 1.5배)의 하중을 가하는 양측 다리 프레스로 수직 점프에서 착지할 때 나타나는 힘에 해당하는 슬개골에 힘을 가하는 동작입니다.
  • 정지 착지, 점프 및 착지, 가속 및 감속, 절단 및 방향 전환이 포함된 점프 시퀀스
  • 강도(높이, 속도)보다 먼저 진행된 볼륨(점프 횟수, 접촉 횟수)
  • 3일마다 수행하고 둘째 날과 셋째 날마다 등척성 부하와 등장성 부하를 계속합니다.

4단계 - 스포츠 복귀

  • 단계별 훈련 및 경기 복귀는 처음에는 3단계 운동의 양과 강도에 맞춰 훈련하고, 스포츠별 상황에 따라 필요한 양과 강도로 진행합니다.
  • 2단계 운동은 일주일에 최소 2회 이상, 최종적으로 1단계 운동은 훈련 전후에 유지합니다.
슬개건 병증의 재활 단계 및 진행 기준
Malliaras et al. (2015)

전체 재활 과정이 느리고 때로는 6개월 이상 걸릴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세요. 의 연구 Bahr et al. (2014)에 따르면 슬개건 병증을 앓고 있는 운동선수 중 46%만이 12개월 동안의 특이한 훈련 프로그램 후 완전한 훈련으로 복귀할 수 있었고 통증이 없었다고 합니다.

힘줄을 치료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가요? 그런 다음 블로그 게시물을 확인하세요:

 

 

참조

Bahr, M. A., & Bahr, R. (2014). 점프 빈도가 점퍼 무릎의 위험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젊은 엘리트 배구 선수의 훈련 및 경기 중 촬영된 총 11,943개의 점프 비디오에서 개인 간 및 성별 차이를 연구한 결과입니다. 영국 스포츠 의학 저널, 48(17), 1322-1326.

Cook, J. L., Khan, K. M., Harcourt, P. R., Grant, M., Young, D. A., & Bonar, S. F. (1997). 점퍼 무릎을 가진 100명의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한 단면 연구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관리했습니다. 빅토리아 스포츠 힘줄 연구회. 영국 스포츠 의학 저널, 31(4), 332-336.

홀든, S., 린, K., 그레이븐-닐슨, T., 리엘, H., 올레센, J. L., 라르센, L. H., & 라틀레프, M. S. (2020). 슬개건 병증의 등척성 운동과 통증: 무작위 교차 시험. 스포츠 과학 및 의학 저널, 23(3), 208-214.

Kongsgaard, M., Kovanen, V., Aagaard, P., Doessing, S., Hansen, P., Laursen, A. H., ... & Magnusson, S. P. (2009). 슬개 건 병증에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주사, 편심 감소 스쿼트 훈련 및 심한 저속 저항 훈련. 스칸디나비아 스포츠 의학 및 과학 저널, 19(6), 790-802.

말리아라스, P., 쿡, J., 푸르담, C., & 리오, E. (2015). 슬개건 병증: 임상 진단, 부하 관리 및 까다로운 사례 발표를 위한 조언. 정형외과 및 스포츠 물리 치료 저널, 45(11), 887-898.

말리아라스, P., 바튼, C. J., 리브스, N. D., 및 랭버그, H. (2013). 아킬레스 및 슬개건 병증 부하 프로그램: 임상 결과를 비교하고 효과에 대한 잠재적 메커니즘을 파악하는 체계적인 검토. 스포츠 의학, 43, 267-286.

Rio, E., Kidgell, D., Purdam, C., Gaida, J., Moseley, G. L., Pearce, A. J., & Cook, J. (2015). 등척성 운동은 진통을 유도하고 슬개건 병증의 억제력을 감소시킵니다. 영국 스포츠 의학 저널, 49(19), 1277-1283.

 

배우고 있는 내용이 마음에 드시나요?

코스 따라가기

  •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속도로 학습하기
  • 수상 경력에 빛나는 팀이 제공하는 대화형 온라인 강좌
  • 네덜란드, 벨기에, 미국 및 영국의 CEU/CPD 인증
온라인 코스

빅 3 - 햄스트링, 대퇴사두근, 종아리 근육 및 힘줄 부상에 대한 고급 재활 훈련

자세히 알아보기
물리 치료 온라인 코스
힘줄 코스
리뷰

이 과정에 대한 고객의 의견

무료 앱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