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 발목/발 30 Oct 2023

아킬레스건 파열 | 진단 및 치료

아킬레스건 파열 | 진단 및 치료

소개 및 병리 생리학

아킬레스건은 인체에서 가장 크고 강한 힘줄입니다. 가자미근과 비복근의 힘줄과 종골에 삽입된 에 의해 형성됩니다. 힘줄은 걷거나 뛸 때 사람 체중의 4~7배에 달하는 하중에 노출됩니다 (Giddings et al. 2000).

아킬레스건 파열은 일반적으로 운동 활동 중에 가속 또는 점프(푸시 오프) 중에 발생하는 것처럼 힘줄에 무거운 하중이 가해질 때 발생합니다. 따라서 부상의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을 수 있습니다(Arner et al. 1959):

  1. 무릎을 펴고 체중을 지탱하는 푸시 오프
  2. 갑작스럽고 예상치 못한 발목의 배측 굴곡
  3. 족저굴곡 발의 강제 배측 굴곡

힘줄이 파열되면 일반적으로 종골 삽입물 근위 3-6cm 사이에서 발생합니다(Moon et al. 2017).

역학

아킬레스건 파열은 주로 충격이 큰 스포츠에서 발생하며 남성에게서 더 자주 발생합니다. 덴마크의 한 연구에 따르면 1994년 25.95명/100,000명에서 2013년 31.13명/100,000명으로 증가했다고합니다(Ganestam et al. 2016).

문헌에는 아킬레스건 파열을 유발할 수 있는 몇 가지 위험 요인이 나열되어 있습니다(Jarvinen et al. 2005, 맥퀼란 외 2005, Seeger et al. 2006, 크래머 외. 2012)
다음과 같습니다:

  • 힘줄 퇴행
  • 힘줄 혈관 기능 저하
  •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사용
  • 플루오로퀴놀론 사용
  • 이전 반대측 파열
배우고 있는 내용이 마음에 드시나요?

코스 따라가기

  •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속도로 학습하기
  • 수상 경력에 빛나는 팀이 제공하는 대화형 온라인 강좌
  • 네덜란드, 벨기에, 미국 및 영국의 CEU/CPD 인증

임상 프레젠테이션 및 검사

힘줄이 파열되면 환자는 뚜렷한 '펑', '뚝' 또는 '딱' 소리와 함께 즉각적인 통증을 호소합니다. 후자는 다소 빠르게 해결됩니다(레필라티 등). 1998). 환자는 손상된 힘줄로 인해 발바닥 굴곡이 제한되어 보행 이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후경골, 비복근, 족저근의 과도한 활동으로 가려질 수 있습니다(Kauwe 2017).

흥미롭게도 전체 아킬레스건 파열의 66%는 증상이 없거나 파열 전에는 힘줄에 통증, 뻣뻣함 또는 기능 장애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열된 아킬레스건의 98%가 퇴행성 징후를 보인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2014년에 Reiman 등은 아킬레스건 파열 진단을 위한 다양한 임상 평가의 진단 정확도에 대한 메타분석을 포함한 체계적인 검토를 발표했습니다. 아마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테스트는 톰슨 테스트일 것입니다. 민감도 96%, 특이도 93%로 아킬레스건 파열을 배제할 뿐만 아니라 진단에 있어 높은 임상적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환자는 엎드린 자세에서 아래 다리를 뻗은 채 벤치에 누워 있습니다. 환자의 발목이 벤치 가장자리 너머로 뻗어 있습니다. 이제 한 손으로 종아리를 압박하고 발의 움직임에 주의를 기울이세요. 종아리를 압박했을 때 발바닥이 구부러진다면 힘줄이 손상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엎드린 자세에서 발바닥 굴곡에 어느 정도의 예압이 부족하고 종아리 압박으로 인해 더 이상 발바닥 굴곡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파열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정형외과 검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배우고 있는 내용이 마음에 드시나요?

코스 따라가기

  •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속도로 학습하기
  • 수상 경력에 빛나는 팀이 제공하는 대화형 온라인 강좌
  • 네덜란드, 벨기에, 미국 및 영국의 CEU/CPD 인증

치료

재파열률, 기능적 결과, 합병증 발생률, 스포츠 및 직장 복귀율, 조기 체중 부하와 지연 체중 부하 간의 차이를 비교한 최근의 체계적 검토에서는 여러 RCT 및 관찰 연구에서 이러한 요인들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Ochen et al. 2019). 그러나 아직까지 의사 결정 알고리즘이 없기 때문에 결정은 환자와 담당 의사가 내릴 수밖에 없습니다.

아래 동영상에서는 아킬레스건 파열 치료 후 급성기부터 이후 재활 단계에 이르기까지 환자가 할 수 있는 몇 가지 운동을 소개합니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원칙은 보존적 관리를 받는 환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Ollson et al. 2013, Lantto 외 2016).

아킬레스건은 인체에서 가장 크고 강한 힘줄로, 종골에 삽입되는 가자미근과 비복근의 힘줄에 의해 형성됩니다. 아킬레스건 파열은 주로 충격이 큰 스포츠에서 주로 남성 운동선수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2017년의 과학적 검토에 따르면 수술과 보존적 관리의 결과에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보존적 관리를 받은 힘줄의 재파열률이 더 높았으며 부상의 정도에 따라 보존적 관리가 모든 부상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조기 가동을 포함한 가속 재활 프로그램의 이점은 고정에 비해 분명합니다. Brumann et al. (2014).

일반적으로 약 2주간 지속되는 수술 후 1단계에서는 환자에게 예상 경과에 대해 적절히 교육하는 것이 목표가 되어야 합니다. 상처가 제대로 아물고 부기가 조절되는지 확인합니다. 환자는 발바닥이 30° 구부러지는 워커 부츠를 신어야 하지만 체중을 완전히 지탱하고 걸을 수 있어야 합니다. 목표는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이제 어떤 모습일지 살펴보겠습니다:

휴식 시 통증이 없고 부기가 증가하지 않으면 발목의 움직임이 더 좋아질 수 있습니다. 최대 3주까지 지속될 수 있는 두 번째 단계에서는 발목 중립 자세와 발바닥 굴곡 운동 범위를 확보하는 것이 목표가 되어야 합니다. 상처가 제대로 치유되고 부기가 계속 줄어들고 있는지 확인하고 정상적인 보행 패턴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세요. 1단계의 연습 문제를 계속 로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단계에서는 발목에 더 집중할 것입니다.

3단계인 후기 아킬레스건 파열 회복 재활은 최대 9주까지 지속될 수 있으며, 운동 범위 측면에서 각도의 완전한 기능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고유 수용성 감각, 균형감각, 조정력뿐만 아니라 스포츠별 재활에 대비할 수 있도록 근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어떤 종류의 운동을 할 수 있는지 살펴봅시다:

아킬레스건 파열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가요? 다음 리소스를 확인하세요:

 

참조

아너, 오레드, A. 린드홀름, S. R. 오렐. "아킬레스건 피하 파열의 조직학적 변화; 74례에 대한 연구." 악타 치루르지카 스칸디나비카 116.5-6 (1959): 484-490.
가네스탐, 앤 외. "1994년부터 2013년까지 급성 아킬레스건 파열의 발생률이 증가하고 수술적 치료가 눈에 띄게 감소했습니다. 33,1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국적인 레지스트리 연구입니다." 무릎 수술, 스포츠 외상학, 관절경 검사 24.12 (2016): 3730-3737.

기딩스, 버지니아 L., et al. "걷기 및 달리기 중 종아리 하중." 스포츠 및 운동의 의학 및 과학 32.3 (2000): 627-634.

예르비넨, 테로 아, et al. "아킬레스건 장애: 병인 및 역학." 발 및 발목 클리닉10.2 (2005): 255-266.

크래머, 로버트 외. "아킬레스건 병증과 아킬레스건 파열의 유전적 및 의학적 위험 요인 분석: 일치하는 쌍 분석." 정형외과 및 외상 수술 기록집 132.6 (2012): 847-853.

란토, 이이카 외. "급성 아킬레스건 파열의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를 비교하는 전향적 무작위 시험." 미국 스포츠 의학 저널 44.9 (2016): 2406-2414.

마풀리, N. (1998). 아킬레스건의 피하 파열의 임상 진단. 미국 스포츠 의학 저널, 26(2), 266-270.

맥퀼란, 레지나, 폴 그레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치료의 합병증으로 인한 힘줄 파열." 완화 의학 19.4 (2005): 352-353.

문 Y, 최 KY, 안 JH.  "급성 아킬레스건 파열".  관절경 정형외과 스포츠 의학 (2017): 59-65

오첸, 야신 외. "아킬레스건 파열의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 체계적 검토 및 메타분석." BMJ 364 (2019): k5120.

올슨, 니클라스, et al. "급성 아킬레스건 파열에 대한 비수술적 치료 대비 가속 재활을 통한 안정적인 수술적 치료: 무작위 대조군 연구." 미국 스포츠 의학 저널 41.12 (2013): 2867-2876.

Seeger, John D., et al. "아킬레스건 파열과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 및 기타 잠재적 위험 요인과의 연관성 관리 대상 집단에서" 약물 역학 및 약물 안전15.11 (2006): 784-792.

배우고 있는 내용이 마음에 드시나요?

코스 따라가기

  •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속도로 학습하기
  • 수상 경력에 빛나는 팀이 제공하는 대화형 온라인 강좌
  • 네덜란드, 벨기에, 미국 및 영국의 CEU/CPD 인증
온라인 코스

러닝 전문가가 러닝 재활 전문가가 되기 위한 5단계 공식을 공개합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물리 치료 온라인 코스
러닝 재활
리뷰

이 과정에 대한 고객의 의견

무료 앱 다운로드